현대인들의 식생활이 가공식품 중심, 불규칙한 식사 패턴으로 인해 비타민이나 미네랄의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또한 스트레스, 과로, 음주, 흡연, 약물복용, 질병 등 다양한 요인들이 체내 비타민과 미네랄의 소모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일반 권장량으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오늘은 보건복지부 2020 한국인 영양서 섭취기준(DRIs) 활용자료와 한국영양학회를 참조하여 종합비타민 하루 권장량을 제시해 보려고 합니다.
종합비타민 성분별 하루 권장량(성인기준)
종합비타민(멀티비타민) 성분별 하루 권장량(성인기준)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비타민 A : 900 ㎍ RAE(남) / 700 ㎍ RAE(여)
- 비타민 C : 90 mg(남) / 75 mg(여)
- 비타민 D : 15 ㎍ (600 IU))
- 비타민 E : 15 mg a-TE
- 비타민 K : 120 ㎍(남) / 90 ㎍(여)
- 비타민 B1 : 1.2 mg(남) / 1.1 mg(여)
- 비타민 B2 : 1.3 mg(남) / 1.1 mg(여)
- 비타민 B3 : 16 mg NE(남) / 14 mg NE(여)
- 비타민 B5 : 5 mg
- 비타민 B6 : 1.5 mg(남) / 1.4 mg(여) - 나이에 따라 다름
- 비타민 B7 : 30 ㎍
- 비타민 B9 : 400 ㎍ DFE
- 비타민 B12 : 2.4 ㎍
미네랄류 성분별 하루 권장량(성인기준)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칼슘 : 1,000 mg
- 철 : 8 mg(남) / 18 mg(여)
- 마그네슘 : 400 ~ 420 mg(남) / 310 ~ 320 mg(여)
- 아연 : 11 mg(남) / 8 mg(여)
- 구리 : 900 ㎍
- 망간 : 2.3 mg(남) / 1.8 mg(여)
- 셀레늄 : 55 ㎍
- 요오드 : 150 ㎍
- 크롬 : 35 ㎍(남) / 25 ㎍(여) - 나이에 따라 다소 차이
- 몰리브덴 : 45 ㎍
- 인 : 700 mg
- 칼륨 : 3,400 mg(남) / 2,600 mg(여)
비타민 A, D, E, K 는 지용성 비타민이라 과잉 섭취 시 체내에 축적되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. 또한 비타민 C, B군은 수용성 비타민으로 과잉은 대부분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매우 고용량에서는 위장 장애뿐만 아니라 설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미네랄 중에서도 철, 아연, 셀레늄은 과잉 섭취 시 독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용량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.
반응형
'검사와 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타민 풍부한 음식 총정리 (0) | 2025.04.27 |
---|---|
비타민 부족 시 나타날 수 있는 질환 총정리 (1) | 2025.04.27 |
종합비타민 성분별 효능 백과사전 (0) | 2025.04.26 |
종합비타민의 종류와 성분별 최고 함량 제품 비교 (1) | 2025.04.26 |
당뇨 혈액 검사 방법 및 비용 <총 정리> (4) | 2024.09.04 |
댓글